2020년 12월 31일 목요일

맥북프로 2015 mid 15inch SSD용량 업그레이드 1

 개발하기에 현역으로 충분한 스펙인데, 딱 하나 부족한게 용량.(250GB = 맥150 + 윈도우100)


지르기전 사전조사

- (결론) 20만원 투자하면, 용량 250GB에서 1T로 증가, 속도는 4배향상, 256기기 SSD 외장하드 생김.

- 자세한건 아래에..


1. 내 맥북프로에 뭐가 달린건지 호구조사

- 커넥트 모양과 핀 개수(12 + 16) 인터페이스(PCIe 3.0 x4) NVME M.2 확인

링크 참고 hoile.tistory.com/116

 

2.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장비와 성능개선 속도 x4배 향상된다고 함.

- 쓰기/읽기가 414/624 => 1388/1508 향상되는 스샷 확인(이 블로그 작성자는 2015 13inch)

- 년도 같은데 인치가 달라서 약간의 스펙은 틀림. 암튼 내껀 측정결과 450/1200 정도 나왔음

링크 참고 iamskim.tistory.com/21

 

2달간 사용후기 iamskim.tistory.com/48?category=750969 별 문제 없음


3. ssd 교체 후(교체 방법은 나사 풀고 쪼이는것만 알면 될정도 쉬움), 맥과 윈도우 백업 및 복원(이게 복잡함)

- 맥과 윈도우 크린설치하면 기분이야 좋겠지만, 두 OS는 물론이고 프로그램들 다 설치하려니 막막함

  그래서 일명 마이그레이션, 클론, 복제를 해서 편하게 복원하기로 했음.

- 맥은 타임머신(갠적으로 싫어함!), CCC(bombich.com/), SuperDuper(bombich.com/download) 둘 중 하나 쓸 예정.

- 윈도우 WinClone(twocanoes.com/products/mac/winclone/, http://download.cnet.com/Winclone/3000-2242_4-172338.html 6버전) 을 써도 되고,

  서드파티 앱 없이 백업/복원(www.clien.net/service/board/cm_mac/11847150, www.benchodroff.com/2017/02/15/backup-and-restore-boot-camp-on-a-new-mac-for-free/) 둘 중 하나 쓸 예정.


복원 순서

1. 링크3번째(970evo)를 M.2용 외장 하드 케이스를 씌워서 맥북에 연결

   외장 하드에 대한 설명은 blog.naver.com/oneaview/221811675664 여기를 참고

2. 디스크 유틸리티로 링크3번째(970evo)에 맥 똑같이 복제 www.youtube.com/watch?v=RsnJTN1wnJo

3. 970evo를 링크4번째와 연결후, 맥북프로에 있는 NVMe와 교체

4. 부트캠프 설치 및 백업 해두었던 dmg파일로 복원(www.clien.net/service/board/cm_mac/11847150, www.benchodroff.com/2017/02/15/backup-and-restore-boot-camp-on-a-new-mac-for-free/)

5. 맥북프로에서 있던 NVMe를 링크2번째 + 링크1번째를 연결하여, 외장하드로 사용.

 

주문 리스트 링크

- M.2용 외장 하드 케이스

  www.amazon.com/gp/product/B07VVNGYFV/ref=ppx_yo_dt_b_asin_title_o00_s00?ie=UTF8&psc=1

- 맥용을 M.2용으로 바꾸는 컨넥트

  www.amazon.com/gp/product/B07H7B8D36/ref=ppx_yo_dt_b_asin_title_o00_s00?ie=UTF8&psc=1

- 970evo M.2 NVME

  www.amazon.com/gp/product/B07BN217QG/ref=ppx_yo_dt_b_asin_title_o01_s00?ie=UTF8&psc=1

- M.2를 맥용으로 바꾸는 커넥트

  www.amazon.com/gp/product/B01CWWAENG/ref=ppx_yo_dt_b_asin_title_o01_s00?ie=UTF8&psc=1

 

결과는 여기로

맥북프로 2015 mid 15inch SSD용량 업그레이드 2